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UX 일기] 티스토리(Tistory)의 작지만 똑똑한 UI 디테일
    카테고리 없음 2024. 3. 14. 16:39
    반응형

     

    웹사이트를 사용하다 보면

    딱히 거창하지 않아도 “오 이거 편한데?” 싶은 순간이 있다.

     

    이번에 티스토리를 처음 사용해보면서 그런 순간들이 있었다.

     

     

       사이트  정보

        티스토리    https://www.tistory.com/

     

     

       좋았던 UI

     

    1.  끝에 도달하면 사라지는 카드 캐러셀 버튼

     

    나는 아이템을 둘러볼 때 보통 초반에 몇 개만 훑어보고
    전체 아이템이 얼마나 되는지, 끝이 어디쯤인지 파악하는 편이다.
    한꺼번에 다 볼 수 있는 양인지 가늠하는 과정이랄까.

     

    그래서 무한 루프로 아이템이 돌아가도록 되어 있으면
    끝이 어딘지 모호해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.


    특히 항목이 많을 땐, 처음 본 아이템을 기억 못 해서 한 바퀴 더 돌리는 일도 종종 생긴다.
    게임에서 맵 고를 때 그런 경험을 자주 했다. 

     

     

    그런 점에서

    티스토리에서 블로그 스킨을 고를 때
    마지막 항목에 도달하자 오른쪽 화살표가 사라졌던 UI가 인상적이었다.


    '이제 여기까지다'라는 걸 자연스럽게 알려줘서
    전체를 빠르게 훑어보고자 하는 흐름이 깔끔하게 마무리되었기 때문이다.

     

    빨간색 화살표가 내가 말하는 화살표다. 근데 내가 본 스킨 고르는 화면은 이게 아닌데.. 블로그 처음 개설할 때만 볼 수 있는 화면이라 캡처화면을 구할 수가 없다..😭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아이템을 나열할 경우 루프 형식으로 볼 수 있도록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 각각의 장단점을 생각해봤다.

     

      루프 형식 끝을 알려주는 형식
    장점 맨 처음으로 가기 위해 일일히 뒤로가기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됨. 나처럼 참을성 부족한(?) 사용자가 생각없이 휙휙 넘겨도 끝이 어딘지 명확하게 알 수 있음.
    단점 아무 생각없이 넘길 때 끝이 어딘지 파악하기 힘듦. 처음으로 돌아가기 번거로울 수 있음.

     

     

    모든 아이템을 둘러봐야 마음이 편한 내 성격엔 끝을 알려주는 형식이 잘 맞았지만

    각 형식의 장단점을 써놓고 보니 루프 형식이 필요한 상황도 분명히 있을거라 생각됐다.

     

    예를 들면 나열된 아이템이 많을 때이다.

    나열된 아이템이 많다면 사용자가 맨 처음으로 돌아가기 위해서

    버튼을 여러번 눌러야하기 때문에 귀찮을 수 있다. 

     

     

    근데 이런 귀찮음을 덜기 위한 방식이 루프 형식뿐이냐? 이건 아닐 것이다. 

     

    ✔️ 아이템을 구별하고 정리한 메뉴 버튼을 도입하여 한번에 보여질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방법

     

    ✔️ '맨 처음으로 가기', '맨 뒤로 가기' 버튼 도입하는 방법('중간으로 가기' 버튼은 어떠려나 😏)

     

    ✔️ 처음부터 총 아이템의 갯수를 알려주는 방법

    (이 경우 갯수가 많을 때 사용자가 부담을 느껴 아예 둘러 볼 생각을 안할 지도..)

     

    ✔️ 앱의 경우엔 클릭 버튼말고 드래그 기능

     

    등이 있겠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.  한번 더 공개 범위를 확인시켜주는 발행 버튼

     

    글을 게시하기 전 선택한 공개 범위를 마지막에 발행버튼을 통해서 한번 더 확인할 수 있도록 한거다.

    뭐든지 기록으로 남는 인터넷 세상에 남이 보지 않았으면 하는 글을 잘 못 올렸다가 큰일이 생길 수 있다.

    그래서 글을 최종적으로 올리기 전 발행버튼의 텍스트를 통해 공개 범위를 자연스럽게 한번 더 확인시켜주는게 인상깊었다.

     

    공개로 하면 공개 발행 / 비공개로하면 비공개 저장

     

     

    또 글을 올릴 때 비공개 발행이 디폴트로 체크되어있던데 이것도 실수로 하는 공개 발행을 막기 위한 점이 아닐까 생각했다. 

    사소하지만 사용자를 배려했다는 느낌이 들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  아쉬운 점

      티스토리 글 수정할 때자동저장 기능없어서 불편했다.  수정하다가 실수로 글을 날려버렸다..하하

     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